닫기
검색

상세정보


소셜 미디어의 영향과 도덕교육
The Effects of Social Media & Moral Education

윤리연구, 1(126), pp.39-71 Sep, 2019

책이미지
Academic Journal
Article
상세정보
저자 추병완
단체 춘천교육대학교
자료유형 Article
주제어 학제간연구
Content Provider Korea Citation Index
초록 Interaction and self-expression via social media have become a lived norm among youngsters in the digital era. The novelty and pervasiveness of social media are raising a number of new and unique socio-moral issues, while it is promoting various human cooperation and interactions. However, in the academic world of moral education, social media has not been given an important status. In particula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of social media's impact on a student's life, how to effectively utilize social media in moral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f new directions and tasks of moral education in the age of social media have failed to be a major topic, to the extent that it is treated very superficial in the curriculum of mora education as a sub-content element of cyber ethics and/or information & communication ethics. In particular, most moral education researchers overlooked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a student's life from the point of view of moral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objectively analyze the impact of social media on a student's life on the basis of scientific research result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gital citizenship as a new vocabulary that moral education should value in the age of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과 자기표현은 디지털 시대의 젊은 세대에서 하나의 규범이 되었다. 소셜 미디어의 신기함과 만연함은 인간의 다양한 협력과 상호작용을 더욱 증진하면서 새롭고 독특한 여러 가지 사회적ㆍ도덕적 이슈를 제기하는 중이다. 하지만, 도덕교육 학계에서 소셜 미디어는 중요한 위상을 부여받지 못했다. 특히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ㆍ실제적 분석, 도덕교육에서 소셜 미디어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소셜 미디어 시대에서 도덕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과제에 대한 논의 등이 중요한 의제가 되지 못한 채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사이버 윤리나 정보 통신 윤리의 하위 내용 요소로 매우 피상적으로 다루어지는 정도에 그쳤다. 특히 대부분의 도덕교육 연구자는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간과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가 학생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소셜 미디어 시대에서 도덕교육이 중시해야 할 새로운 어휘로서 디지털 시민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Publisher Information 한국윤리학회, 2019.
Publication Year 2019
Collection Article
Accession Number edskci.ARTI.6062008
File Description pdf
ISSN 2982-5334
2982-5121
Access URL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07572
Rights Y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