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세 가지 유형의 분절법과 이들의 상호 비교를 통한 무조음악 분석으로의 접근방법 연구 / An Approach to the Analysis of Atonal Music through the Three Types of Segmentation and Their Comparisons

책이미지
Dissertation/ Thesis
상세정보
저자 백은실 / Baek, Eun Sil
Advisor 박재성
단체 한양대학교
주제어 무조음악
분절법
Content Provider KERIS Theses & Dissertations
초록 20세기 초 쇤베르크의 작품에서 새로이 나타난 음악경향으로 무조음악이 있다. 무조음악을 분석하는 데에는 기존의 조성음악을 분석하는 방법을 적용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알렌 포오트의 집합이론을 이용한 분석법을 필두로 여러 가지 새로운 분석법이 연구되었다. 특히 모든 음고들이 동등하게 취급되어야 하는 무조음악의 특성 때문에, 분석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인 분절법의 연구가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러한 인식은 이전의 이론가들의 선행연구를 통하여서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들 중 구별되는 세 이론가들의 분절법을 소개하고 비교한다. 첫 번째로, 집합이론을 연구하였던 포오트는 분절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세 종류의 분절법을 제시한다. 두 번째로, 크리스토퍼 헤이스티는 “도메인”이라는 포괄적인 분절 기준을 제시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하기에 이른다. 세 번째로, 필자가 윌 오그돈이 쇤베르크 작품을 조성적으로 분석한 논문을 바탕으로 연구한 분절법을 소개한다. 이후 이들의 분절법을 세 종류의 범주에 따라 비교하게 된다. 각 분절법의 특징을 상호 비교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게 됨으로써 이 연구는 무조음악을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줄 것이다.
An Atonal music appears to new tendency of Schoenberg’s work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atonal music applying a method which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tonal music. So several new methods were studied, starting with the analysis using a set theory of Allen Forte. Since the pitch equivalence is a important feature of atonal music, the study of segmentation basic steps in atonal music has to be studied. This awareness appeared to precedent studies. This paper introduces segmentations of three different theorist and compares among their theory. First, Allen Forte, a theorist who studies the set theory, suggests the need to research of segmentation and three contents. Second, Christopher Hasty presents "domain" which is comprehensive standard. So he can in-depth study. Third, I introduce the segmentation studied tonal analysis in an atonal work of Schoenberg by Will Ogdon. And then compare those segmentations in three different kinds of categories. As this paper provides new information with comparing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ation, this study establish a foundation to analyze the atonal music in detail.
Publisher Information 한양대학교, 2015.
Publication Year 2015
Contents Note 국문요지viI. 서론 1 1. 분절법의 개요1 (1) “분절”의 의미1 (2)“분절”의 필요성2 2. 분절법을 위한 선행 연구3 3. 세 가지 유형의 분절법 : , , 4II. 분절법에서의 “세 가지 유형”6 1. 기초분절법(Primary Segmentation)6 (1) 수평분절6 (2) 수직분절8 (3) 수직분절/수평분절이 동시에 나타나는 예9 2. 합성분절법(Composite Segmentation)11 (1) 하위분절을 포함하는 경우11 (2) 분절단위를 확장시키는 경우14 3. 겹침(Imbrication)분절법17 (1) 겹침분절법의 예18 (2) 겹침분절법의 필요성20III. 분절법에서의 “도메인”22 1. 의 “조성 이후 음악에서의 분절과 그 과정”22 2. 음정관계를 통한 분절법으로의 접근23 3 슈테판 볼페의 현악4중주곡에서의 분절26 (1) 음정에 따른 분절28 (2) “도메인”(Domain)을 통한 분절 방법 제시29 (3) 도메인에 의한 “구조”(Structure) 형성34IV. 의 조성적 기능에 의한 분절법40 1. 분절의 영역화40 2. 쇤베르크 Op. 11/1을 통한 분절42 (1) 조성적 기능에 의한 구조 분석42 (2) “음도표기법”의 사용43 3. “음도표기법”을 통한 화성 분석44 4. “큐비스트 종지”(Cubist Cadence)를 통한 제시부 구조 분석48V. 세 가지 분절법의 비교54 1. 음악적 분석: 음악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는가?55 (1) 포오트의 객관적인 분절법55 (2) 헤이스티의 도메인을 이용한 다양한 분절법57 (3) 오그돈의 영역화된 분절 단위60 2. 다양성 및 통일성 : 분절된 단락을 분석에 적용시킬 때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가?61 (1) 포오트61 (2) 헤이스티63 (3) 오그돈66 3. 구조 분석의 용이성: 분절을 통하여 작품의 구조를 분석하기에 용이한가?68 (1) 포오트의 “음고류”에 따른 구조 분석69 (2) 헤이스티의 “도메인”을 이용한 구조 분석71 (3) 오그돈의 “종지”를 이용한 구조 분석72VI. 결론77참고문헌79Abstract80
File Description application/pdf
Availability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27376
Rights 한양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egree 대학원 음악학과, Dissertation
Accession Number edsker.000004110856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