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 김원일
-
51.
-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생태학적 담론에 관한 고찰 - 「도요새에 관한 명상」을 중심으로 -
-
김춘규 |
현대문학이론학회 |
현대문학이론연구 |
(60)
|
pp.227~249 |
2015.03 |
문학이론
- 피인용횟수 : 7
-
52.
- 한국 기독교 믿음(信仰)의 세 유형과 행태- 김원일과 유재용의 두 중편소설들을 중심으로
-
임영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
(14)
|
pp.7~21 |
2004.06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0
-
53.
- 한국 노년기 작가들의 노년소설 연구 -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홍상화, 김원일의 작품을 중심으로 -
-
김미영 |
한국문학언어학회 |
어문론총 |
(64)
|
pp.215~245 |
2015.06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12
-
54.
- 소문과 소식, 억압된 기억을 전달하는 두 방식 -80년대 초 하근찬·김원일 소설 교차하여 읽기
-
임명선 |
인문학연구소 |
용봉인문논총 |
(65)
|
pp.265~302 |
2024.10 |
기타인문학
- 피인용횟수 : 0
-
55.
-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적 사유 -「도요새에 관한 명상」과 『아우라지로 가는 길』을 중심으로
-
이숙 |
인문학연구소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21
(2)
|
pp.177~201 |
2020.08 |
기타인문학
- 피인용횟수 : 4
-
56.
- 권력담론 희생자로서의 아버지 복원하기 -황순원 <일월>, 김원일 <노을>, 문순태 <피아골>을 중심으로-
-
최영자 |
우리문학회 |
우리문학연구 |
(34)
|
pp.413~448 |
2011.10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4
-
57.
- ‘87년 체제’와 지연된 전향의 완수-1980∼90년대 김원일, 이문구, 이문열 소설의 변화를 중심으로
-
김명훈 |
상허학회 |
상허학보 |
60
|
pp.219~264 |
2020.10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4
-
58.
-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소문의 서사화와 공간적 상상력- 「어둠의 혼」과 『마당깊은 집』을 중심으로
-
이숙 |
한국비평문학회 |
비평문학 |
(74)
|
pp.183~209 |
2019.12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3
-
59.
- 소년들의 도시, 전쟁과 빈곤의 정치학-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와 김원일의 『마당 깊은 집』을 중심으로
-
김한식 |
한국비평문학회 |
비평문학 |
(37)
|
pp.139~161 |
2010.09 |
한국어와문학
- 피인용횟수 : 14
-
60.
- 1987년 한국에서 교양소설을 쓴다는 것 ―김원일의 『늘푸른 소나무』에 나타난 화해의 제스처와 불화의 예감
-
김명훈 |
구보학회 |
구보학보 |
(20)
|
pp.507~535 |
2018.12 |
현대소설(국문학)
- 피인용횟수 : 0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