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 서이제
-
71.
- 북한과 탈북자를 재현하는 텔레비전에 대한 수용자의 시선: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대한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
장영은 | 박지훈 |
한국소통학회 |
한국소통학보 |
(27)
|
pp.225~254 |
2015.08 |
휴먼커뮤니케이션
- 피인용횟수 : 13
-
72.
- 三論學의 二諦說에 대한 재조명 ―理, 敎, 境, 智의 관계 및 於諦와 敎諦의 의미 분석
-
김성철 |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
30
|
pp.213~240 |
2011.12 |
불교학
- 피인용횟수 : 11
-
73.
- 문화적 양극화, 탈북자 토크쇼, 정체성 혼란 -<이제 만나러 갑니다>와 <모란봉 클럽>에 대한 담화 및 담론 분석-
-
강민경 | 백선기 | 남시호 |
한국콘텐츠학회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17
(1)
|
pp.567~584 |
2017.01 |
학제간연구
- 피인용횟수 : 12
-
74.
- 탈북 여성은 어떻게 말할 수 있는가?: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
이선민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미디어, 젠더 & 문화 |
29
(2)
|
pp.75~115 |
2014.06 |
신문방송학
- 피인용횟수 : 29
-
75.
- 텔레비전 토크쇼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 A)의 탈북 여성들의 사적 기억 재구성 방식과 그 의미에 대하여
-
태지호 | 황인성 |
한국언론정보학회 |
한국언론정보학보 |
60
(4)
|
pp.104~124 |
2012.11 |
신문방송학
- 피인용횟수 : 31
-
76.
- 『十門和諍論』 <공유화쟁문>에 나타난 화쟁논법의 특성: 이제・삼성・불가언설과 관련한 비유비무 중도관을 중심으로
-
김태수 |
불교학연구회 |
불교학연구 |
62
|
pp.131~159 |
2020.03 |
불교학
- 피인용횟수 : 5
-
77.
-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식별불가능한 지대를 탐색하는 다큐멘터리 현장: <호수길>, <자, 이제 댄스타임>, <거미의 땅>을 중심으로
-
박기웅 | 채희숙 |
한국영화학회 |
영화연구 |
(65)
|
pp.49~79 |
2015.09 |
영화
- 피인용횟수 : 5
-
78.
- 학살의 기억, ‘이제는 말할 수 있다’(<마을로 간 한국전쟁>, 박찬승, 돌베개, 2010. / <‘빨갱이’의 탄생: 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 김득중, 선인, 2009.)
-
김정인 |
참여연대 |
시민과 세계 |
(18)
|
pp.333~336 |
2010.12 |
사회과학일반
- 피인용횟수 : 0
-
79.
- 제3의 길과 신노동당, 오독과 베끼기를 넘어 - 기든스 저, 김연각 역 《이제 당신 차례요, Mr. 브라운 - 영국 노동당이 다시 이기는 길》
-
김보영 |
참여연대 |
시민과 세계 |
(13)
|
pp.372~378 |
2008.04 |
사회과학일반
- 피인용횟수 : 0
-
80.
- 이제 시작된 이야기, 계속 만나고 이어질 이야기: [서평] 백름(2023), 『재일조선인미술사 1945-1962: 미술가들과 표현활동의 기록』, 연립서가, 511쪽
-
김지영 |
인문학연구원 |
인문논총 |
81
(2)
|
pp.401~418 |
2024.05 |
기타인문학
- 피인용횟수 : 0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