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4건 중 104건 출력
, 1/11 페이지
-
1
-
교수의 직업윤리
-
강선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大學敎育 = Higher education,
v.140,
2006,
pp.50-56)
-
2.
- 지방행정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강선보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vi, 80 p., 2022
-
3
-
한국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철학적 모색-존 듀이의 철학을 중심으로
-
정창호;
강선보;
;
(철학연구,
v.0,
2014,
pp.67-103)
-
4
-
『예기(禮記)』의 상례(喪禮)·제례(祭禮)에 나타난 죽음론의 교육적 의의
-
이유정;
강선보;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교육철학연구,
v.37,
2015,
pp.67-92)
-
5
-
소년원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예술프로그램의 성격과 목표 구안에 관한 연구
-
이화식;
강선보;
단국대학교;
고려대학교;
(조형교육,
v.0,
2011,
pp.181-210)
-
6
-
공자와 플라톤의 교육목적론 비교 연구 - 論語와 국가를 중심으로
-
강선보;
장지원;
고려대학교;
우석대학교;
(동양고전연구,
v.0,
2007,
pp.221-254)
-
7
-
정보화사회의 대학교육 발전방향
-
강선보;
고려대학교;
(한국교육학연구,
v.8,
2002,
pp.7-24)
-
8
-
놀이의 평화교육적 의의
-
강선보;
고려대학교;
(한국교육학연구,
v.8,
2002,
pp.15-35)
-
9
-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
강선보;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
v.0,
2003,
pp.1-24)
-
10
-
이스라엘의 중등교육과 개혁동향
-
강선보;
고려대학교;
(한국교육학연구,
v.10,
2004,
pp.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