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3건 중 103건 출력
, 1/11 페이지
-
1
-
현실비판류가사의 작자층 연구
-
고순희;
;
(국어국문학,
v.99,
1988,
pp.115-122)
-
2
-
18세기 정치현실과 가사문학-별사미인곡과 속사미인곡을 중심으로
-
고순희;
;
(語文學 : 한국어문학회 =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78,
2002,
pp.185-210)
-
3
-
제주 전통 털소재 복식의 유형과 특성
-
고순희;
장현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2008,
pp.114-128)
-
4
-
피부손상질환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는 천연약재의 염색 연구
-
장현주;
고순희;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2008,
pp.68-80)
-
5
-
19세기 중엽 상층 사대부의 가사 창작
-
고순희;
;
(국어국문학,
v.149,
2008,
pp.109-132)
-
6
-
일제강점기 가일마을 안동권씨 가문의 가사 창작 - 항일가사 〈꽃노래〉와 만주망명가사 〈눈물 뿌린 이별가〉
-
고순희;
;
(국어국문학,
v.2010,
2010,
pp.133-158)
-
7
-
동북.내몽골지역 중국소수민족이 착용한 모피와 피혁류 복식의 유형과 특성
-
고순희;
장현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2010,
pp.58-75)
-
8
-
조선시대 복식에 사용된 금장식 기법의 유명과 특성
-
장현주;
고순희;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제주대학교 의류학과;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6,
2006,
pp.82-95)
-
9
-
고려 아미타불 및 관세음보살도에 나타난 문양을 응용한 아동 생활한복 디자인
-
장현주;
고순희;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제주대학교 패션의류학과;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2,
2020,
pp.151-165)
-
10
-
시학에서 활용까지, 고전시가의 가치를 재정립하다 - 고순희, 『고전 詩·歌·謠의 시학과 활용』, (박문사, 2017) -
-
박지애;
창원대학교;
(어문론총,
v.0,
2020,
pp.187-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