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8건 중 158건 출력
, 1/16 페이지
-
1.
- 전라남도 굿음악의 세대간 전승 양상 연구 : - 박선애 무계를 중심으로 -
- 제샛별
-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231 p., 2022
-
2
-
광주의 세습무 활동 변화 양상 - 박선애ㆍ오춘자 무녀를 중심으로
-
정대하;
;
(한국무속학 = Korean shamanism,
v.16,
2008,
pp.135-159)
-
3
-
학령기 아동의 신체만족도 및 피부고민과 기초화장품 사용실태조사
-
박선애;
;
(한국피부미용향장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v.2,
2007,
pp.67-81)
-
4
-
시집살이 노래의 가출 공간과 미학 : <가출형 며느리노래>를 대상으로
-
박선애;
;
(泮橋語文硏究,
v.21,
2006,
pp.253-297)
-
5
-
광주의 세습무 활동 변화 양상-박선애·오춘자 무녀를 중심으로-
-
정대하;
목포대학교;
(한국무속학,
v.0,
2008,
pp.135-159)
-
6
-
[일반논문] 인간성 회복을 향한 비극적 삶의 호흡 - 김소엽론 -
-
박선애;
;
(상허학보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v.5,
1999,
pp.279-308)
-
7
-
A Study on Korean Folk Song Theory Ⅱ - Centering on Kim Tae-jun’s Theory of Folk Song -
-
박선애;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36,
2012,
pp.173-197)
-
8
-
조선총독부의 문화재 "보존" 사업과 戰時動員
-
박선애;
;
(역사와경계 = History & the Boundaries,
v.65,
2007,
pp.255-282)
-
9
-
[작가론] 부정적 현실과 윤리의식의 표현 양상 - 이무영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
박선애;
;
(상허학보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v.3,
1996,
pp.321-352)
-
10
-
서울지역 한 집성촌 마을신앙의 성격과 전승 의미 - 강일동 산치성(山致誠)을 중심으로
-
박선애;
;
(韓國民俗學= The Korean folklore,
v.38,
2003,
pp.221-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