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국 고대사에서 종족성의 인식
-
박순발;
;
(韓國古代史硏究 =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
v.44,
2006,
pp.5-19)
-
2
-
4~5세기 한국 고대사와 고고학의 몇 가지 문제
-
박순발;
;
(韓國古代史硏究 =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
v.24,
2001,
pp.5-38)
-
3
-
여주 흔암리 선사취낙지 출토 석기류II - 남한강유역의 선사문화연구(8) -
-
최몽룡;
박순발;
서울대 인문대 고고미술사학과;
호암미술관;
(古文化 = Korean antiquity,
v.26,
1985,
pp.1-27)
-
4
-
부여군 노화리 제4기 고경작지(畓)에서 산출된 화분, 포자에 의한 고기후 해석
-
윤혜수;
이종덕;
김향숙;
박영숙;
박순발;
;
(고생물학회지 =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18,
2002,
pp.11-26)
-
5
-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
김명진;
이종신;
박순발;
(재)충청문화재연구원 부설 한국고고과학연구소;
충남대학교 임산공학;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4,
2008,
pp.13-22)
-
6
-
베이지안 통계를 이용한 고고학 편년 설정의 재검토 -한반도 중부지역 청동기 전기 가락동 유형을 중심으로-
-
김명진;
홍덕균;
박순발;
한국고환경연구소연구소;
강원대학교 물리학과;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3년도 제18회 발표논문집,
v.2003,
2003,
pp.81-81)
-
7
-
墓制의 變遷으로 본 漢城期 百濟의 地方 編制 過程
-
박순발;
충남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
v.0,
2007,
pp.155-186)
-
8
-
백제 도성의 시말(百濟 都城의 始末)
-
박순발;
충남대학교;
(중앙고고연구,
v.0,
2013,
pp.1-34)
-
9
-
서천 추동리 문화유적에서 채취된 숯의 수종식별과 물리적 특성
-
김명진;
이종신;
박순발;
주식회사 라드피온;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보존과학회지,
v.24,
2008,
pp.13-22)
-
10
-
초斗考
-
朴淳發;
;
(東亞考古論壇 = East-Asian archaeological forum,
v.1,
2005,
pp.229-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