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웅진천도후(熊津遷都後) 백제(百濟) 와건물(瓦建物) 적심토(積心土)의 편년(編年)과 축조기법(築造技法)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
조원창;
기호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6,
2007,
pp.57-74)
-
2
-
백제 사비기 부여 부소산사지의 축조기법과 가람배치 검토
-
조원창;
;
(역사와 담론 = History and discourse : journal of historical review,
v.59,
2011,
pp.357-388)
-
3
-
백제(百濟) 혼축기단(混築基壇)의 연구(硏究)
-
조원창;
기호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장/대전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5,
2006,
pp.77-94)
-
4
-
백제 군수리사원의 축조기법과 조영주체의 검토
-
조원창;
;
(韓國古代史硏究 =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
v.51,
2008,
pp.159-190)
-
5
-
백제시대 부여지역 저습지에 조성된 유적에서 나타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 연구
-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9,
2010,
pp.155-171)
-
6
-
고려시기 잡상 연구
-
Cho, Weon-Chang;
;
(지방사와 지방문화 =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v.16,
2013,
pp.7-40)
-
7
-
백제 웅진기 이후 대지조성 공법의 연구
-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8,
2009,
pp.25-39)
-
8
-
백제(百濟) 목탑지(木塔地) 편년(編年)과 축기부(軸基部) 축조기법(築造技法)에 관한 연구(硏究)
-
조원창;
기호문화재연구원 연구실;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17,
2008,
pp.65-82)
-
9
-
공주 주미사지 출토 연화문 와당의 형식과 특수문 와당의 계통
-
조원창;
;
(지방사와 지방문화 =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v.13,
2010,
pp.165-197)
-
10
-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형식과 편년
-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42,
2009,
pp.132-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