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1건 중 171건 출력
, 10/18 페이지
-
91
-
건식식각장치에서 임피던스 측정과 비등방성 식각에 대한 연구
-
김종식;
김흥락;
강봉구;
권오대;
포항 공과 대학 전자전기공학과;
포항 공과 대학 전자전기공학과;
포항 공과 대학 전자전기공학과;
포항 공과 대학 전자전기공학과;
(대한전기학회 198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v.1989,
1989,
pp.94-97)
-
92
-
키르기스스탄의 정치 변동에서 러시아 요인의 작용 양태와 성공 원인
-
강봉구;
한양대학교;
(국제정치연구,
v.14,
2011,
pp.1-32)
-
93
-
‘튤립혁명’ 이후 키르기스스탄 재민주화의 한계
-
강봉구;
한양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v.17,
2009,
pp.283-304)
-
94
-
푸틴 집권3기 러시아의 대외정책 -주요 지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강봉구;
한양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v.20,
2012,
pp.129-152)
-
95
-
러시아의 대외정책노선과 2012년 이후 대외정책의 영향 변수들
-
강봉구;
한양대학교;
(평화연구,
v.20,
2012,
pp.169-205)
-
96
-
우크라이나 위기와 미국-러시아 관계: 대외정체성 대립의 장기화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학보,
v.30,
2015,
pp.1-42)
-
97
-
우크라이나의 ‘오렌지혁명’에서 국제요인과 대외정치적 정체성
-
강봉구;
한양대학교;
(세계지역연구논총,
v.27,
2009,
pp.81-110)
-
98
-
잠복과 분출: 키르기스스탄 민족주의 정치의 특성과 원인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학보,
v.29,
2014,
pp.1-46)
-
99
-
세계로부터 천산(天山)으로: 키르기스스탄 대외정책 정향의 변화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硏究,
v.25,
2009,
pp.171-204)
-
100
-
강대국 으로의 복귀?: 푸틴 시대의 대외정책 (2000~2014)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硏究,
v.30,
2014,
pp.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