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812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붓 장인을 통해 본 전통공예의 전승과 변화 - 전북 지역 전통 붓 제작을 중심으로
-
조성실;
;
(실천민속학연구,
v.21,
2013,
pp.271-296)
-
92
-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분석과 방향: 전통공예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
조성실;
전북대학교;
(박물관학보,
v.0,
2022,
pp.37-61)
-
93
-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Research on Ritual Crafts used in Gilrye and Hyungrye in the Joseon Dynasty
-
Koo, Hye-in;
;
(朝鮮時代史學報,
v.100,
2022,
pp.411-454)
-
94
-
우리나라 공예문화 상품의 현황과 미래방향 :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
김정석;
;
(한국공예논총 = The Korea society of craft,
v.10,
2007,
pp.279-299)
-
95
-
Decorations on Craft Works and International Trade Revealed in King Heungdeok’s Decree of Silla
-
Shin , Suk;
;
(韓國古代史探究=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
v.25,
2017,
pp.310-341)
-
96.
- 전통공예 전승과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구 : 국가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김상원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100 p., 2018
-
97
-
조선 후기 금속공예 법랑(琺瑯) 기법의 유입과 전개
-
김세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v.46,
2024,
pp.277-316)
-
98
-
산업공예 디자인 경영 전략과 기업성과 지표 활용도에 관한 연구
-
김종선;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v.12,
2013,
pp.161-174)
-
99
-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으로 본 신라 금공예의 수용 과정
-
이송란;
덕성여자대학교;
(고문화,
v.0,
2015,
pp.59-87)
-
100.
- 홀리스틱 교육에 근거한 디자인과 공예 교육 방안 연구
- 남윤희
-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v, 53p.,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