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1건 중 331건 출력
, 10/34 페이지
-
91
-
高宗 年間(1863-1907) 宮中 書畵收藏의 전개와 변모양상
-
황정연;
;
(美術史學硏究 =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v.259,
2008,
pp.79-116)
-
92
-
한국전통식품 콘텐츠의 효율적 활용 기술에 관한 연구
-
장대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2012,
2012,
pp.170.2-170.2)
-
93.
- 조선후기 <牡丹圖十曲屛>의 古色復原模寫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김지선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p251, 2019
-
94.
- 朝鮮後期 社會·經濟的 變動이 食生活에 미친 影響
- 김희선
-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vii, 112p., 1987
-
95
-
댄스스포츠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
김경래;
신현군;
김문석;
이소영;
연세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11,
2003,
pp.355-372)
-
96
-
한국의 고대악무 연구를 위한 일본의 궁중악무 고찰: 고구려계 악무의 춤사위 구성 및 궁중악무로서의 위상을 중심으로
-
박태규;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일본공간,
v.0,
2022,
pp.111-135)
-
97.
- 조선후기 民畵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 안호숙
-
성균관대학교, 국내박사,
vi, 304 p., 2011
-
98.
- 茶山 丁若鏞의 茶 活用에 관한 硏究
- 김득신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p213, 2020
-
99.
- 우리나라 婚禮服에 關한 一硏究 : 女子婚禮服을 中心으로
- 박경자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v, 152p., 1969
-
100
-
음악교과와 타 교과의 통합지도를 통한 창작영역에서 단계별 포구락 놀이 활동 지도방안 연구-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
하혜린;
김성한;
공주교육대학교;
수원중촌초등학교;
(국악원논문집,
v.0,
2023,
pp.337-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