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1건 중 141건 출력
, 10/15 페이지
-
91.
- 한국 전통 다식의 감미 결착제로서 올리고당 이용에 관한 연구 : 송화다식을 중심으로
- 문정숙
-
誠信女子大學校 情報産業大學院, 국내석사,
64p., 2002
-
92.
- 조선후기 造花의 유형과 변천 : 絲花와 紙花를 중심으로
- 박은주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159 p., 2005
-
93
-
10-14세기 宋·元의 레시피와 한반도의 밥상
-
정세진;
성신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
v.61,
2022,
pp.261-291)
-
94.
- 전골(煎骨)의 문헌적 고찰
- 송혜림
-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xi, 119 p., 2001
-
95
-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
이경애;
김보람;
김향숙;
신말식;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2012,
pp.327-335)
-
96.
- 중국의 '저(菹)' 변천사 : 夏代에서 淸代까지
- 신계숙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iii, 104 p., 2005
-
97
-
헌종~고종대 왕실 연향용 倭饌榼의 성격과 유입 배경
-
남소라;
(재)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문화,
v.0,
2022,
pp.529-554)
-
98.
- 17∼18세기 通信使에 대한 日本의 儀式茶禮 硏究
- 박정희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iv, 264 p., 2009
-
99
-
1700년대~1960년대 문헌에 나타난 탕평채의 문헌고찰
-
이경애;
김보람;
김향숙;
신말식;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8,
2012,
pp.489-497)
-
100
-
일본(日本) 법륭사(法隆寺) 성덕태자제사(聖德太子祭祀) 공물(供物)을 통한 한국고대식(韓國古代食) 추정연구(推定硏究)
-
김천호;
한양여자전문대학 식품영양과;
(韓國食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v.6,
1991,
pp.223-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