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62건 중 962건 출력
, 10/97 페이지
-
91
-
김명순과 펑위안쥔(馮沅君)의 낭만적 연애론과 대상 남성 형상화 비교연구 — 김명순의 <돌아다볼 때>와 펑위안쥔의 <단절>, <단절 이후>, <여행>을 중심으로
-
고호월;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중국어문논총,
v.0,
2021,
pp.327-353)
-
92
-
불완전한 주체의 윤리적 말하기 –김명순 소설의 근대여성주체를 중심으로
-
이수진;
서울대학교;
(여성문학연구,
v.0,
2023,
pp.97-127)
-
93
-
1920년대 여성 담론과 김명순의 글쓰기
-
신지연;
한림대학교;
(어문논집,
v.48,
2003,
pp.10-354)
-
94
-
‘김명순’이라는 텍스트와 유전(流轉)하는 여성 주체
-
심진경;
서강대학교;
(여성문학연구,
v.0,
2019,
pp.231-255)
-
95
-
신여성 시 연구 -김명순과 노천명 시를 중심으로-
-
진순애;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
v.0,
2011,
pp.101-124)
-
96
-
어조의 분열 : 유폐와 탈주의 욕망 사이-김명순론
-
박경혜;
;
(여성문학연구,
v.0,
1999,
pp.69-104)
-
97
-
A Study on the Kim Myung-soon's “Tan-sil and Joo-young”
-
Lee, Sang-kyung;
;
(현대소설연구 =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v.80,
2020,
pp.379-415)
-
98
-
신경향파 소설과 젠더 배치의 상상력-김명순이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
이원동;
경북대학교;
(어문학,
v.0,
2017,
pp.367-392)
-
99
-
뇌 Wilson병 2례 : MRI 소견
-
김명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대한방사선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v.28,
1992,
pp.692-695)
-
100
-
활동 중심 독서의 의미와 방향
-
김명순;
;
(독서연구,
v.14,
2005,
pp.5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