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54건 중 554건 출력
, 10/56 페이지
-
91
-
당, 수령, 그리고 애국주의: 이태준의 경우
-
배개화;
단국대학교;
(한국현대문학연구,
v.0,
2012,
pp.169-206)
-
92
-
이태준의 여성교양소설과 가부장제 비판
-
배개화;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
v.0,
2014,
pp.261-290)
-
93
-
이태준의 장편소설과 국가총동원체제 비판으로서의 ‘일상정치’
-
배개화;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
v.0,
2013,
pp.419-454)
-
94
-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양가적 의식
-
배개화;
서원대학교;
(우리말글,
v.36,
2006,
pp.263-296)
-
95
-
문장지 시절의 박태원 - 신체제 대응양상을 중심으로 -
-
배개화;
단국대학교;
(우리말글,
v.44,
2008,
pp.251-282)
-
96
-
새로 발굴한 종군기를 통해 본 한국전쟁 초기 이태준
-
배개화;
단국대학교;
(민족문학사연구,
v.0,
2011,
pp.338-370)
-
97
-
민족어, 민족문학, 리얼리즘-임화의 경우-
-
배개화;
단국대학교;
(현대소설연구,
v.0,
2008,
pp.173-198)
-
98
-
⟨문장강화⟩에 나타난 문장(文章) 의식
-
배개화;
단국대학교;
(한국현대문학연구,
v.0,
2004,
pp.417-442)
-
99
-
북한 문학자들의 소련기행과 전후 소련의 이식
-
배개화;
단국대학교;
(민족문학사연구,
v.0,
2012,
pp.364-398)
-
100
-
이병기를 통해 본 근대적 ‘문학어’의 창안
-
배개화;
서원대학교;
(어문학,
v.0,
2005,
pp.289-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