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9건 중 169건 출력
, 10/17 페이지
-
91
-
미국 민속학개론 검토와 발전적 제언
-
배영동;
안동대학교;
(비교민속학,
v.0,
2016,
pp.229-267)
-
92
-
주거공간 이용과 집 다스리기의 전통-국가와 집의 정치로서 주거문화-
-
배영동;
안동대학교;
(비교민속학,
v.0,
2004,
pp.569-606)
-
93
-
된장을 통해본 민족음식의 전통과 변화
-
배영동;
안동대학교;
(한국민속학,
v.35,
2002,
pp.51-78)
-
94
-
문화경계가 약화되는 오늘날의 음식문화
-
배영동;
안동대학교;
(실천민속학 연구,
v.11,
2008,
pp.83-106)
-
95
-
개발지역 마을 소멸 상황에 대한 민속학적 대응 -전면 개정된 문화재 조사 법령과 관련하여-
-
배영동;
안동대학교;
(한국민속학,
v.53,
2011,
pp.37-74)
-
96
-
陳獨秀의 民主政治思想
-
배영동;
전북대학교;
(중국사연구,
v.0,
2004,
pp.285-330)
-
97
-
한국수저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
-
배영동;
대전보건전문대학 박물관과;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0,
1996,
pp.211-232)
-
98
-
전통적 마을민속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안동 하회탈놀이와 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우-
-
배영동;
안동대학교;
(비교민속학,
v.0,
2015,
pp.97-136)
-
99
-
문화전승으로서 농업기술 교육의 전통과 변화
-
배영동;
안동대학교;
(비교민속학,
v.25,
2003,
pp.391-415)
-
100
-
세시와 주거공간의 관련 양상
-
배영동;
안동대학교;
(비교민속학,
v.0,
2008,
pp.109-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