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52건 중 752건 출력
, 10/76 페이지
-
91.
- 朝鮮時代의 書堂敎育에 관한 硏究
- 김용동
-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66p., 1984
-
92
-
서당학동이 읽은 필사본 ‘용례집(用例集)’의 내용과 특징
-
전경목;
한국학중앙연구원;
(韓國古典硏究,
v.0,
2016,
pp.279-326)
-
93
-
일제강점기 改良書堂의 형성과 실상 -사진자료를 중심으로-
-
송찬섭;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역사연구,
v.0,
2014,
pp.201-228)
-
94
-
朝鮮後期 書堂敎育의 兩面性
-
禹龍濟;
;
(敎育史學硏究,
v.4,
1992,
pp.79-100)
-
95
-
신라 중고기 서당의 설치와 운용형태
-
홍성열;
국민대학교;
(신라사학보,
v.0,
2018,
pp.1-35)
-
96
-
A study on the characters and roles of members of the Nine-Seodang(九誓幢) of Silla(新羅)- Focusing on the origins of the officers to whom they belong and some branches of the military service
-
Choi, Sang-ki;
;
(中央史論,
v.56,
2022,
pp.67-105)
-
97
-
일제강점기 개량서당의 일본어교육에 관한 연구
-
송숙정;
전북대학교;
(日本文化學報,
v.0,
2023,
pp.21-36)
-
98
-
서당 이덕수의 교유관계 고찰
-
이황진;
단국대학교;
(동양고전연구,
v.0,
2022,
pp.163-196)
-
99
-
『다사리국가론-민세 안재홍의 사상과 행동』, 정윤재 지음, 백산서당, 1999
-
이상익;
;
(정치사상연구 = The Korean review of political thought,
v.2,
2000,
pp.309-314)
-
100
-
공간형 콘텐츠로서 도산서당 활용에 대한 시론
-
전성건;
안동대학교;
(유학연구,
v.65,
2023,
pp.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