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94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학교역사관을 활용한 교수-학습용 교육컨텐츠 개발 : 초등사회과 근대사 수업 적용
- 정수진
-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99 p., 2013
-
92
-
맹자의 일치일란 역사관을 통해 본 재난 인식
-
정영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유교사상문화연구,
v.0,
2021,
pp.119-140)
-
93
-
영화 《러시아 방주》에 나타난 메시아니즘적 역사관과 러시아문화의 정체성 모색
-
이희원;
;
(슬라브 학보,
v.20,
2005,
pp.217-239)
-
94
-
정도전의 箕子 중심의 역사관과 급진적 문명론
-
최봉준;
명지대학교;
(韓國史學史學報,
v.0,
2014,
pp.71-104)
-
95
-
Credible Witness에 나타난 워튼베이커의 역사관과 공간의 개념
-
정광숙;
;
(현대영미드라마 = Journal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drama,
v.21,
2008,
pp.151-173)
-
96
-
Desire and Enlightenment : Two Powers that move History
-
Jeong, Chun-Koo;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v.25,
2019,
pp.20-44)
-
97
-
단군민족주의 역사관이 자아정체감과 애국심에 미치는 영향
-
함영란;
;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 The journal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v.10,
2005,
pp.85-112)
-
98
-
다크투어리즘 관광자의 관람동선 및 관람행태(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을 대상으로)
-
아데 뜨리아나 롤리타사리;
윤희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강원대학교 관광경영학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2016,
pp.198-210)
-
99.
- 초등 역사 교육을 위한 '부산근대역사관' 활용 방안
- 배정숙
-
부산교육대학교, 국내석사,
iii, 54장, 2009
-
100
-
브레히트의 역사관과 수용자 개입 사이의 상호작용
-
서요성;
한양대학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0,
2004,
pp.5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