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66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정체성이라는 전략: 조선후기 대명유민의 경우를 중심으로
-
유불란;
서강대학교 글로컬사회문화연구소;
(통일과 평화,
v.14,
2022,
pp.315-345)
-
92.
- 明朝 遺民 張岱의 小品散文 연구 : 『陶庵夢憶』·『西湖夢尋』을 중심으로
- 김현여
-
숭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124, 2023
-
93
-
새로 소개된 고구려 유민 ‘南單德’ 묘지에 대한 검토
-
장병진;
연세대학교;
(고구려발해연구,
v.52,
2015,
pp.273-296)
-
94
-
中國 發見 百濟 遺民 祢氏 家族 墓誌銘 檢討
-
김영관;
제주대학교;
(신라사학보,
v.0,
2012,
pp.89-158)
-
95
-
明末淸初 遺民의 기억, 서사, 그리고 ≪女範捷錄≫
-
KimJiSeon,;
;
(中國學論叢 = Journal of Chinese studies,
v.36,
2012,
pp.137-160)
-
96
-
A Study on the Epitaph of Gobin, Former Goguryeo People
-
Kim, Young-kwan;
;
(韓國古代史探究= Sogang journal of early Korean history,
v.28,
2018,
pp.321-355)
-
97
-
위만조선 멸망 이후 유민들의 향방-일본 출토 대형 전한경의 전달 과정을 중심으로
-
이양수;
국립박물관;
(고조선단군학,
v.46,
2021,
pp.91-118)
-
98
-
Aftermath of Climatic Disasters during the reigns of Joseon Kings Hyeonjong and Sukjong, and Changes in the Government’s Refugee Policies
-
美成, 金;
;
(역사와 현실,
v.118,
2020,
pp.99-135)
-
99
-
金澤榮 詩에 나타난 遺民意識
-
황재문;
;
(한국한시연구,
v.0,
2005,
pp.119-154)
-
100
-
고대일본의 ‘동국’과 ‘한반도유민’-8세기를 중심으로-
-
Whanbhum Song,;
;
(日本文化硏究 = Japanese cultural studies,
v.null,
2017,
pp.137-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