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8건 중 118건 출력
, 10/12 페이지
-
91
-
조선에서 양명학 관련 문헌의 수용 양상 - 16세기를 중심으로 -
-
김시내;
송정숙;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지학연구,
v.0,
2017,
pp.297-321)
-
92
-
夢? 南克寬의 학문과 산문비평
-
송혁기;
단국대학교;
(漢文學報,
v.14,
2006,
pp.245-272)
-
93
-
西厓 柳成龍의 『楚辭』 受容의 美意識
-
신두환;
안동대학교;
(동방한문학,
v.0,
2016,
pp.219-260)
-
94.
- 퇴계와 남명의 선비정신 비교 연구
- 김환구
-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125페이지, 2019
-
95.
- 壬辰倭亂期 三國 關係定立 摸索 : 壬辰倭亂期 朝鮮의 位置를 중심으로
- 조인희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59 p., 2015
-
96
-
敬菴 盧景任의 「月幕山水記」와 그 장소성
-
신두환;
안동대학교;
(동방한문학,
v.0,
2022,
pp.241-288)
-
97
-
자암 이민환의 학적 연원과 경세론
-
김인규;
영산대학교;
(동양고전연구,
v.0,
2015,
pp.79-106)
-
98.
- 임진왜란기 조선의 대외교섭과 조일 국교 회복에 대한 연구
- 조인희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v, 225 p., 2022
-
99.
- 定齋學派의 現實認識과 救國運動
- 강윤정
-
檀國大學校, 국내박사,
vi,191 p., 2006
-
100.
- 益齋鄭焜의 『李子書節要』硏究
- 심대용
-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58 p.,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