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9건 중 199건 출력
, 10/20 페이지
-
91
-
주요국의 투자이민제도의 비교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미국, 캐나다, 호주, 홍콩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임동진;
이규홍;
순천향대학교;
법무부 서울남부 출입국관리소;
(한국이민정책학보,
v.1,
2016,
pp.61-87)
-
92
-
독일의 다문화사회 통합정책과 시사점
-
한상우;
;
(한·독사회과학논총,
v.20,
2010,
pp.65-86)
-
93.
- 부시 대통령 연설문을 통해 살펴본 표현연구
- 김도연
-
선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 2008
-
94
-
혁신주의 시대 NCF와 이민 정책
-
심인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미국사연구,
v.59,
2024,
pp.1-34)
-
95.
- 1970~1980년대 재미 한인사회의 '한국학교' 운영과 한인 정체성 형성
- 김은아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 86 p., 2020
-
96
-
해상에서의 인적․물적 교류의 자유화에 따른 초국가적 범죄의 예방에 관한 연구
-
고은주;
성균관대학교;
(해사법연구,
v.25,
2013,
pp.233-254)
-
97.
- 무역과 이민 : 자연인의 이동(Mode 4)에 관한 무역협정상 양허내용 분석
- 이정우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x, 192 p., 2019
-
98.
- 독일과 한국의 노동이민정책 비교 : 저숙련 노동이민자를 중심으로
- Steege Frauke Katharina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68 p., 2020
-
99.
- 캐나다 이민정책에 관한 연구
- 홍예정
-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국내석사,
viii, 91 p., 2010
-
100
-
독일 이주정책의 변화와 사회통합 거버넌스
-
강휘원;
강성철;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14,
2010,
pp.291-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