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0건 중 150건 출력
, 10/15 페이지
-
91
-
가족-공동체의 도래를 기다리며: 이창동의 ⟨밀양⟩과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어느 가족⟩ 읽기
-
강의혁;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문학과 영상,
v.20,
2019,
pp.417-441)
-
92
-
이창동 영화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 라깡의 무의식적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
강성한;
부산대학교;
(아시아영화연구,
v.15,
2022,
pp.37-68)
-
93
-
이창동 영화의 문화적 의미- 『오아시스』와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 『밀양』과 자크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
-
이만식;
경원대학교;
(비교문학,
v.0,
2008,
pp.89-112)
-
94
-
Literary and Aesthetic logic Word in Lee Chang dong’s <Burning>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Haruki, Faulkner’s novel-
-
Hwang, Kyeong;
;
(우리어문연구 = The Studie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64,
2019,
pp.165-192)
-
95
-
벼 밀양 23 <tex> $ times$</tex> 기호벼의 재조합 자식계통의 출수일수에 따른 등숙특성과 품질특성의 품종변이
-
곽태순;
여준환;
은무영;
차영순;
변영기;
이창동;
강연진;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상지대학교;
(한국작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요지,
v.2005,
2005,
pp.254-255)
-
96
-
영화를 활용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이해 교육 방안 연구: 이창동의 영화 『시』를 중심으로
-
이은홍;
이화여자대학교;
(화법연구,
v.0,
2015,
pp.145-182)
-
97
-
이창동 초기 반미주의 소설 속 여성혐오와 동물 되기 - 「전리」와 「슈퍼스타를 위하여」를 중심으로
-
김성희;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한국현대문학연구,
v.0,
2022,
pp.415-448)
-
98
-
영화에 나타난 ‘시적인 삶’에 있어서 윤리(倫理)와 구도(求道)의 문제 - 영화 ⟨패터슨⟩(짐 자무시)과 ⟨시⟩(이창동)를 중심으로
-
강호정;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
v.52,
2024,
pp.193-220)
-
99
-
공동체의 (불)가능 조건으로서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가시나무」와 이창동의 ⟨시⟩ 비교 연구
-
강희원;
경희대학교;
(동서비교문학저널,
v.0,
2015,
pp.29-58)
-
100
-
젠더와 계급 갈등 위에 교차된 인종화: <버닝>의 벤 캐릭터에 대한 재고찰
-
이윤종;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아시아영화연구,
v.16,
2023,
pp.215-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