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54건 중 454건 출력
, 10/46 페이지
-
91
-
『삼국유사』를 통해본 일연의 역사 인식
-
주보돈;
경북대학교;
(영남학,
v.0,
2017,
pp.127-162)
-
92
-
The characteristic of Samguk Yusa 'Giyi Ⅱ' and Ilyeon's Perception of the Unification Period of Silla
-
Park, Mi Sun;
;
(溫知論叢,
v.77,
2023,
pp.107-135)
-
93
-
세상으로 나아가기의 문화적 의미 - 『삼국유사』 <피은>편을 중심으로
-
김경섭;
김정래;
을지대학교 교양학부;
을지대학교 의료공학과;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2022,
pp.333-339)
-
94
-
元曉와 一然의 삶과 그 문학적 거리
-
허원기;
건국대학교;
(동아시아고대학,
v.0,
2020,
pp.147-178)
-
95
-
曹洞五位의 전승에 대한 一然과 淨訥의 대응 고찰
-
김호귀;
동국대학교;
(불교연구,
v.0,
2019,
pp.61-83)
-
96
-
선조왕손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연구
-
원영상;
원광대학교;
(한국불교사연구,
v.0,
2015,
pp.72-100)
-
97
-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꽃’에 대한 고찰- 일연의 「찬(讚)」을 중심으로 -
-
최재목;
김은령;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
(유학연구,
v.29,
2013,
pp.227-257)
-
98
-
普覺國尊 一然에 대한 研究 - 迦智山門의 登場과 관련하여
-
蔡尙植;
;
(韓國史硏究=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
v.1979,
1979,
pp.35-62)
-
99
-
일연의 가락국기를 중심으로 본 역사 인식
-
장정태;
동국대학교;
(한국사상과 문화,
v.0,
2019,
pp.807-842)
-
100
-
『歷代年表』와『三國遺事』를 통해 본 一然의 발해인식
-
이효형;
부산대학교;
(동북아역사논총,
v.0,
2007,
pp.183-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