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0건 중 170건 출력
, 10/17 페이지
-
91
-
고구려사 연구의 시작과 끝에 대한 탐색- 정호섭, 『고구려사와 역사인식』(새문사, 2016) -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
v.0,
2017,
pp.447-459)
-
92
-
영역지배를 통해 본 고구려사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사연구,
v.0,
2006,
pp.211-221)
-
93
-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 - 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 -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동북아역사논총,
v.0,
2012,
pp.53-100)
-
94
-
고구려 王號의 변천과 성격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
v.28,
2002,
pp.5-42)
-
95
-
대중교육과 대중매체에 나타난 광개토왕대 고구려 역사상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
v.0,
2012,
pp.269-298)
-
96
-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기 백제와 고구려 대외관계 기사의 재검토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백제문화,
v.0,
2007,
pp.5-21)
-
97
-
광개토왕비문에 보이는 時制 서술법과 歷史觀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영남학,
v.0,
2014,
pp.37-64)
-
98
-
『삼국사기』 온조왕본기 영역 획정 기사의 성립 시기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역사문화연구,
v.0,
2013,
pp.3-42)
-
99
-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
임기환;
경희대학교;
(서울학연구,
v., 0,
2002,
pp.1-33)
-
100
-
「삼국사기」 백제본기 대외관계 기사의 재구성 시론-지명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고대사연구,
v.0,
2008,
pp.275-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