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4건 중 164건 출력
, 10/17 페이지
-
91
-
예천지역 성리학계의 지형도 - 16~17세기를 중심으로 -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영남학,
v.0,
2016,
pp.301-340)
-
92
-
소무蘇武의 충절의식이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사회사상과 문화,
v.0,
2009,
pp.109-133)
-
93
-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사회사상과 문화,
v.0,
2011,
pp.317-339)
-
94
-
百弗庵 崔興遠 가문의 學風과 실천지향의 삶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한국학논집,
v.0,
2015,
pp.211-250)
-
95
-
한강 정구와 조선 중기 대구권 성리학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임종진경북대학교;
(사회사상과 문화,
v.8,
2003,
pp.187-238)
-
96
-
퇴계철학에 있어서 理의 능동성 이론과 그 연원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영남학,
v.0,
2012,
pp.1-38)
-
97
-
조선 중기 고령유학의 특징-회통성, 개방성, 실천성을 중심으로 하여
-
장윤수;
대구교육대학교;
(사회사상과 문화,
v.0,
2008,
pp.171-207)
-
98
-
⟨축제⟩의 글쓰기 제의와 연희적 성격
-
장윤수;
대진대;
(현대소설연구,
v.20,
2003,
pp.55-82)
-
99
-
인간-되기와 소설의 발생론적 플롯, ⟨벌레 이야기⟩
-
장윤수;
대진대학교;
(현대소설연구,
v.0,
2010,
pp.351-376)
-
100
-
천국의 로고스와 상생의 소설학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을 중심으로
-
장윤수;
대진대학교;
(현대소설연구,
v.0,
2005,
pp.353-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