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1건 중 121건 출력
, 10/13 페이지
-
91.
- 피터 쉐퍼의 작품과 현대 한국 문학에 나타난 호모에로티시즘과 젠더에 관한 연구
- 김알리사
-
고려대학교, 국내박사,
iii, 200 p., 2007
-
92.
- 성장소설에 나타난 성장의 시대적 차이 연구
- 고은미
-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ii, 51p., 2002
-
93
-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
김예니;
성신여자대학교;
(반영과 재현,
v.1,
2021,
pp.5-28)
-
94
-
해체시의 의미화 과정에 대한 인지시학적 고찰 -「주기도문, 빌어먹을」과 「약속 없는 세대」를 중심으로-
-
이승철;
전북대학교;
(현대문학의 연구,
v.0,
2013,
pp.447-476)
-
95
-
한국희곡의 정신분석적 읽기
-
김만수;
인하대학교;
(한국극예술연구,
v.0,
2004,
pp.99-122)
-
96
-
남성성의 해체 양상 -2000년대를 전후한 남성 극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방옥;
동국대학교;
(한국연극학,
v.0,
2010,
pp.111-156)
-
97
-
한국희곡의 정신분석적 읽기
-
김만수;
인하대학교;
(한국극예술연구,
v.0,
2004,
pp.99-122)
-
98
-
‘유토피아’的 지식인의 분열증적 양상, 90년대 시적 주체의 한 갈래(2)–유하를 中心으로–
-
김정현;
부산가톨릭대학교;
(어문연구(語文硏究),
v.51,
2023,
pp.169-204)
-
99
-
Rewriting Three Kingdoms: The Practice by Modern Korean Writers of Translating/Revising a Chinese Classic
-
권혁찬;
香港城市大學;
(중국문화연구,
v.0,
2012,
pp.5-17)
-
100.
- 한국 현대 도시시 연구 : 1930년대와 1980년대 시를 중심으로
- 임영선
-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191 p.,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