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9건 중 159건 출력
, 10/16 페이지
-
91
-
무형문화재 택견 전승을 위한 기록화의 필요성과 의미 고찰
-
정성미;
전북대학교;
(무예연구,
v.14,
2020,
pp.29-50)
-
92
-
민속예술에서 숫자 12의 도입과 ‘관념의 구체화’ 양상 - 영남 지역 12차 풍물을 중심으로
-
남성진;
;
(比較民俗學 = Asian Comparative Folklore,
v.44,
2011,
pp.165-191)
-
93
-
무속의 전승 주체 - 호남의 당골제도와 세습무계의 활동
-
이경엽;
;
(韓國民俗學= The Korean folklore,
v.36,
2002,
pp.181-209)
-
94.
- 반촌마을 제사음식 전승지식에 관한 연구 : 봉화 닭실마을을 중심으로
- 장수영
-
안동대학교, 국내석사,
83, 2016
-
95.
- 해동화놀이를 통해 본 민속변화와 문화적 지향
- 최보영
-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 87 p., 2016
-
96.
- 공동체를 통한 무형유산 가치 실현 방안 연구 : 농악 공동체를 중심으로
- 송지민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
, 2024
-
97.
- 소스 커뮤니티 관점으로 본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분석과 방향
- 조성실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ⅸ, 256 p., 2014
-
98.
- 제주도 송당마을 본향당의 굿과 단골신앙 연구
- 김승연
-
제주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102장, 2011
-
99
-
무가의 전승 주체
-
홍태한;
;
(韓國民俗學= The Korean folklore,
v.35,
2002,
pp.253-275)
-
100.
- 1970년대 이후 장승의 전승과 변화양상
- 김진식
-
안동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146 p.,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