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410건 중 1,000건 출력
, 10/100 페이지
-
91.
- 프로그램과 도시 조직의 단계적 전환에 따른 공간의 재구성 : 기무사 이전 후 부지의 전용을 중심으로
- 정연수
-
建國大學校, 국내석사,
34 p., 2002
-
92
-
글로벌시대 중국의 체제전환과 도시종족공동체 재형성 -북경 왕징 코리아타운의 조선족 공동체 사례 연구
-
예동근;
부경대학교;
(민족연구,
v.0,
2010,
pp.159-184)
-
93
-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본 서울시 정책 평가 : ‘공유도시’와 에너지 전환 정책을 중심으로
-
김민재;
박순열;
김지혜;
안새롬;
구도완;
환경사회연구소;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ECO,
v.22,
2018,
pp.7-40)
-
94
-
북ㆍ중 접경지역: 전환기 북ㆍ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
최재헌;
건국대학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14,
2011,
pp.139-140)
-
95
-
농촌과 도시의 공존을 위한 인식론적 전환: 근대화론 비판
-
이성우;
임형백;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농촌사회,
v.13,
2003,
pp.41-73)
-
96
-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앙-지방 스마트도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연구
-
조영임;
김경훈;
가천대학교;
KT;
(지역과 정치,
v.5,
2022,
pp.5-28)
-
97
-
평화의 지역적 전환 - 국내 평화도시 논의를 중심으로 -
-
백일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대한지리학회지,
v.57,
2022,
pp.19-36)
-
98
-
전환기 중국 도시와 농촌 거주자의 정부신뢰 비교
-
이유정;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중국지식네트워크,
v.18,
2021,
pp.107-138)
-
99
-
Urban Political Reform and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the Australian Ballot System
-
Kim, Yong Tae;
;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
v.35,
2024,
pp.99-129)
-
100.
-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그린인프라 전환사업의 ESG 관점 평가요소 도출 및 평가 : -분당수서간 도시고속화도로 입체도로 구간의 상부공원화 사업을 중심으로-
- 이은정
-
한양대학교, 국내박사,
205,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