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40건 중 140건 출력
, 10/14 페이지
-
91
-
民國期 上海 文廟의 기능 변화와 ‘孔子’
-
정문상;
경원대학교;
(중국사연구,
v.0,
2004,
pp.235-266)
-
92
-
⟨역사비평⟩과 한국의 중국학 연구
-
정문상;
가천대학교;
(역사비평,
v.0,
2012,
pp.322-350)
-
93
-
민국시기 상하이 미곡 유통망과 미곡 시장의 구성
-
정문상;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
v.23,
2011,
pp.171-196)
-
94
-
김준엽의 근현대 중국론과 동아시아 냉전
-
정문상;
경원대학교;
(역사비평,
v.0,
2009,
pp.228-261)
-
95
-
‘역사전쟁’에서 ‘역사외교’로 - ‘동북공정’에 대한 한국인의 대응양상 -
-
정문상;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
v.15,
2008,
pp.205-232)
-
96
-
1920年代 曾琦(1892~1951)의 國家主義思想과 政治活動
-
정문상;
경원대학교;
(동방학지,
v.0,
2002,
pp.215-252)
-
97
-
문화대혁명을 보는 한국사회의 한 시선―리영희 사례
-
정문상;
경원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역사비평,
v.0,
2006,
pp.212-241)
-
98
-
포드재단(Ford Foundation)과 동아시아 ‘냉전지식’ -한국과 중화민국의 중국근현대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정문상;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
v.36,
2014,
pp.179-201)
-
99
-
특집1 서문 - 냉전기 한중일 3국의 상호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정문상;
경원대학교;
(동북아역사논총,
v.0,
2011,
pp.7-13)
-
100
-
냉전기 북한의 중국 인식 ― 한국전쟁 후 중국 방문기를 중심으로
-
정문상;
경원대학교;
(우리어문연구,
v.0,
2011,
pp.16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