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8건 중 118건 출력
, 10/12 페이지
-
91
-
생명자본주의에 대한 동양학적 접근 - 도가사상(道家思想)을 중심으로 -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다문화와 평화,
v.5,
2011,
pp.5-24)
-
92
-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도교 圖像의 의미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도교문화연구,
v.19,
2003,
pp.11-28)
-
93
-
중국 시애설화(屍愛說話)의 유형 및 문화적 의미 - 『수신기(搜神記)』를 중심으로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도교문화연구,
v.0,
2015,
pp.327-347)
-
94
-
갈홍(葛洪), 도인인가? 문인인가? -『포박자(抱朴子)』의 문학성 탐구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도교문화연구,
v.0,
2014,
pp.197-218)
-
95
-
고구려 고분벽화로부터 비롯된 인식 확대의 값진 성취 - 『전호태, 화상석 속의 신화와 역사』(소와당, 2009)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역사와경계,
v.0,
2009,
pp.291-297)
-
96
-
『周氏冥通記』試論 -『道藏』의 문학 상상력 연구 1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도교문화연구,
v.39,
2013,
pp.245-270)
-
97
-
중국신화의 상호주관성과 동아시아 문화적 위상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도교문화연구,
v.51,
2019,
pp.9-34)
-
98
-
타자의 신화에서 차이의 신화학으로-동서양 신화의 비교를 통하여-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언어문화,
v.0,
2019,
pp.5-25)
-
99
-
호남 도교의 진인대망론(眞人待望論)과 강증산의 탄강(誕降)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대순사상논총,
v.41,
2022,
pp.1-25)
-
100
-
조선 시대의 『산해경(山海經)』 수용 약론(略論)-문헌자료를 중심으로-
-
정재서;
이화여자대학교;
(도교문화연구,
v.0,
2017,
pp.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