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52건 중 852건 출력
, 10/86 페이지
-
91
-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사상의 고찰
-
양무목;
경기대학교;
(대순사상논총,
v.5,
1998,
pp.183-263)
-
92.
-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연구
- 서미희
-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국내석사,
ii, 116 p., 2013
-
93.
- 謙齋 鄭敾의 眞景山水에 나타난 金剛山圖 硏究
- 허영도
-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83p., 2000
-
94.
- 태평무의 벽사진경적 상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 김경옥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48, 2024
-
95.
- 겸재의 진경산수화에 표현된 한성부 및 인근지역의 문화경관 해석
- 서지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vi, 84장, 2012
-
96.
- 眞景을 통한 時代意識 表現 硏究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 羅允九
-
中央大學校 大學院, 국내석사,
iii, 51 p., 2000
-
97
-
진경시대의 회화
-
최완수;
간송미술관 연구실장;
(한국복식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v.2001,
2001,
pp.18-19)
-
98.
- 謙齋 鄭敾 眞景山水畵의 儒家美學的 硏究
- 이상은
-
성균관대학교, 국내석사,
iv, 80 p., 2017
-
99.
- 김홍도의 진경산수화를 활용한 풍화 침식에 대한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 박용필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xiii, 91 p., 2015
-
100
-
[동인소개] 한 폭의 진경이 될 때까지
-
정경화;
;
(시조시학 = Poetics & Sijo,
v.35,
2010,
pp.198-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