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96건 중 296건 출력
, 10/30 페이지
-
91
-
인공지능을 활용한 스마트 큐레이션 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홈쇼핑 산업을 중심으로)
-
김태수;
신승중;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24,
2024,
pp.175-183)
-
92
-
비엔날레의 담론화와 정치성
-
안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예술과 미디어,
v.22,
2023,
pp.61-76)
-
93
-
구성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박물관에서의 관람경험과 관람객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미국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
송한나;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0,
2013,
pp.15-24)
-
94
-
글로벌리즘과 한국현대미술의 동시대성
-
이숙경;
영국 테이트 큐레이터;
(미술사학보,
v.0,
2013,
pp.71-87)
-
95
-
가상 박물관의 기원과 공간 형식에 관한 연구
-
박대정;
모란갤러리 큐레이터;
(현대미술학 논문집,
v.11,
2007,
pp.245-279)
-
96
-
전시 큐레토리얼로 본 ≪2000 부산국제아트페스티발≫ 1
-
심다희;
갤러리 희 큐레이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v.24,
2022,
pp.5-28)
-
97.
- WDM 네트워크기반에서 광 분기결합(OADM) 모듈에 관한 연구
- 임경호
-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국내석사,
vii, 54p., 2001
-
98.
- 중국 큐레이션 커머스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赵金越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 65장, 2018
-
99.
- 기업에서의 빅데이터 구축방안과 적용사례 연구
- 문대홍
-
경상대학교 경영대학원, 국내석사,
80 p., 2016
-
100.
- 전환기 사회에서의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 : 디자인 큐레이팅을 중심으로
- 박선욱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vi, 102p.,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