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9건 중 159건 출력
, 10/16 페이지
-
91
-
Deconstructive Embrace of Nation/Nationalism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임경구;
동국대;
(현대영미소설,
v.13,
2006,
pp.163-190)
-
92
-
‘말하는 여자’의 계보로서 테레사 학경 차의『딕테』
-
최하영;
건국대학교;
(미국소설,
v.17,
2010,
pp.121-145)
-
93
-
사물과 정동 연구 : 『딕테』와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
김대중;
강원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
v.11,
2018,
pp.5-28)
-
94
-
『딕테』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
-
이덕화;
평택대학교;
(한국문예비평연구,
v.0,
2009,
pp.61-83)
-
95
-
Narrating Chaos: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and Korean American Fragmentary Writings
-
Ferens Dominika;
;
(Anglica Wratislaviensia,
v.,
2019,
)
-
96
-
테레사 학경 차의 『딕테』에 나타난 받아쓰기의 양상
-
이정옥;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
v.1,
2013,
pp.165-198)
-
97
-
``The Remnant is the Whole'': Collage, Serial Self-Representation, and Recovering Fragments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McDaniel, N.;
;
(Ariel,
v.40,
2009,
pp.69-88)
-
98
-
차학경의 받아쓰기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비평
-
서경숙;
대덕대학교;
(영어영문학연구,
v.31,
2005,
pp.41-60)
-
99
-
언어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문학적 글쓰기
-
김화선;
배재대학교;
(어문연구,
v.49,
2005,
pp.307-328)
-
100
-
Dismantling Bellicose Identities: Strategic Language Games in Theresa Hak Kyung Cha’s DICTEE
-
Joo Hee-Jung Serenity;
Lux Christina;
;
(Journal of Transnational American Studies,
v.,
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