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811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조선나전사(朝鮮之螺鈿社)’와 한국 근대 나전칠기
-
노유니아;
도쿄대학;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49,
2016,
pp.122-141)
-
992
-
중국 강수 문양을 응용한 뷰티 아트디자인 작품 제작 연구
-
이경;
성신여자대학교;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12,
2022,
pp.157-172)
-
993
-
3D 프린터를 이용한 '석고 몰드 캐스팅' 사례에 관한 연구 - 실용도자공예를 중심으로
-
방창현;
경희대학교 도예학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2021,
pp.141-149)
-
994.
- 자연을 모티브로 한 홈퍼니싱 가구·소품 디자인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소영
-
동아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ii, 118 p., 2024
-
995.
- 한지(韓紙)의 중국예술(中國藝術)로의 전파와 수용 연구
- 장의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
258 p., 2024
-
996.
- 전통문양을 활용한 장신구 공예 학습지도안 연구 : 초등학교 중학년 중심으로
- 박유림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ⅶ, 57 p., 2009
-
997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공예디자인에 관한 연구 -별주부전 이야기를 중심으로-
-
최정화;
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2017,
pp.359-366)
-
998
-
모꾸메가네 기법을 활용한 금속표면 디자인 연구
-
윤재원;
광주대학교 주얼리디자인학과;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0,
2012,
pp.431-437)
-
999
-
의궤 기록을 중심으로 본 금속공예 완충재 감탕
-
조윤정;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
v.0,
2020,
pp.281-296)
-
1000
-
현대 산업 직물디자인에 응용된 수공예적 요소의 의미
-
박남성;
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 섬유디자인전공;
(디자인學硏究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16,
2003,
pp.299-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