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56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Bruner의 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 교육과정 지평의 해석적 비평
- 이지은
-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v, 259 p., 2020
-
992.
- Der Erweckungsbegriff in der Pa@dagogik Eduard Sprangers
- 송선재
-
Eberhard-Karls-Universita@t Tu@bingen, 국외박사,
v, 240 p., 1991
-
993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사회과 교과지식의 연계성 분석
-
박재진;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유아교육연구,
v.41,
2021,
pp.99-120)
-
994
-
J.plaget의 수학교육관의 철학적 배경
-
우정호;
;
(Bulletin of the Korean Mathematical Society = 대한수학회보,
v.20,
1983,
pp.111-122)
-
995
-
수학교육에서 상황인지이론의 적용 방안
-
김상룡;
대구교육대학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5,
2012,
pp.1-11)
-
996.
- Skemp 이론에 기초한 학교수학교사와 학원수학강사의 교수법 비교 연구
- 김숙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ii, 272p., 2004
-
997.
- 수학과 수학교육학의 학문학적 비교연구 :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 태성이
-
이화여자대학교, 국내석사,
ix, 70 p., 2009
-
998
-
한국 임상심리전문가의 역할과 활동: 2018년도 조사보고서
-
권정혜;
고려대학교;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37,
2018,
pp.4-12)
-
999
-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토대로 한 Eisner의 교육과정 유형 분석
-
김복영;
인천대학교;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15,
2011,
pp.25-47)
-
1000
-
경제적 제약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일 자유의지의 순차적 매개효과
-
이희은;
이기학;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v.21,
2024,
pp.327-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