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47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壬辰倭亂 직후 軍需物資 확보와 軍需交易의 영향
-
윤여석;
부산대학교;
(군사,
v.0,
2016,
pp.235-272)
-
992
-
임진왜란기 조선관료가 바라본 일본군
-
방기철;
선문대학교;
(군사,
v.0,
2006,
pp.77-110)
-
993
-
한국의 평화유지활동과 내전국가의 거버넌스 변화
-
김인수;
육군사관학교;
(군사,
v.0,
2014,
pp.265-298)
-
994
-
선조대 후반(1592~1608) 都監의 운영을 통해 본 都監制의 역할과 존속 배경
-
나영훈;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사,
v.0,
2015,
pp.117-156)
-
995
-
미국의 대량살상무기 대확산(Counter-proliferation)정책 발전과 함의
-
임채홍;
원광대학교;
(군사,
v.0,
2009,
pp.315-350)
-
996
-
명량해전 후 일본군의 공세와 연해지역 의병항전-최대성의 의병활동과 보성 안치전투 사례를 중심으로-
-
조원래;
순천대학교;
(군사,
v.0,
2009,
pp.67-102)
-
997
-
6.25전쟁 연구의 국내적 신경향
-
이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군사,
v.0,
2009,
pp.151-176)
-
998
-
북핵의 과정분석과 아국의 대응방안
-
신성택;
한국국방연구원;
(군사,
v.0,
2003,
pp.1-46)
-
999
-
중국의 한국전쟁 개입결정과 군사전략 목표
-
Park Chang-Hee;
합동참모본부;
(군사,
v.0,
2003,
pp.47-92)
-
1000
-
조선 중기 사관의 국방의식 -명종실록 사론을 중심으로-
-
김경수;
청운대학교;
(군사,
v.0,
2003,
pp.31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