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167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1920년대 초중반 ‘재생’ 담론의 인식론적 지형과 의미 -김동인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
김선;
홍익대학교;
(춘원연구학보,
v.0,
2022,
pp.129-155)
-
992
-
Stator Current Processing Based Technique for Induction Motors Bearing Faults Diagnosis
-
홍원표;
윤충섭;
김동화;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2005,
2005,
pp.311-318)
-
993
-
일제하 ‘신여성’ 담론의 정치적 의미 - 김동인 소설의 미소지니즘과 여성인물 형상화를 중심으로 -
-
박수빈;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어문학,
v.37,
2020,
pp.83-113)
-
994
-
김동리 소설의 대립 구도와 생의 구경- 근대와 반근대의 이분법을 넘어 -
-
전계성;
경북대학교;
(영남학,
v.0,
2019,
pp.325-356)
-
995
-
'사회적 타살'의 시대, 트라우마 극복의 길찾기(김동춘`김명희 외, ⟨트라우마로 읽는 대한민국⟩, 역사비평사, 2014)
-
김상숙;
단국대학교;
(역사비평,
v.0,
2015,
pp.418-427)
-
996
-
김동리의 장편소설 『사반의 십자가』 연구 -형식미학적 특질과 주제의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이찬;
고려대학교;
(우리어문연구,
v.0,
2010,
pp.521-549)
-
997
-
독자 개념의 형성과 글쓰기의 관계 - 김동인의 ‘참문학’과 상상된 독자 개념을 중심으로 -
-
주민재;
명지대학교;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v.0,
2015,
pp.447-476)
-
998
-
호랑이 사냥에 나선 조선, 생태환경과 민본주의의 갈림길 -김동진, 『조선전기 포호정책』(선인, 2009)-
-
장경호;
강원대학교삼척캠퍼스 강원전통문화연구소;
(생태환경과 역사,
v.0,
2015,
pp.199-204)
-
999
-
1920년대 문학에서 고백의 성립과 자기 인식의 문제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을 중심으로
-
김지영;
서울대학교;
(현대소설연구,
v.0,
2005,
pp.77-94)
-
1000
-
김동리의 그늘과 미학화된 ‘역사의식’으로서의 토속성 - 한승원의 「한」연작과 「폐촌」읽기
-
김주현;
동의대학교;
(어문론집,
v.42,
2009,
pp.299-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