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919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천연기념물 식물 유형 개발
-
손지원;
신진호;
이재진;
김도희;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49,
2016,
pp.218-227)
-
992.
- 사진측량과 Laser Scanning system을 이용한 문화재 해석
- 한창대
-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국내석사,
vi, 60p., 2000
-
993
-
음파를 활용한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기록 방법 연구
-
허문녕;
이영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야외고고학,
v.0,
2020,
pp.69-96)
-
994
-
공간 단위 문화재 보존개념인 '집단민속자료구역'의 법제화 및 적용과정 연구
-
한나래;
문화재청;
(법과정책연구,
v.21,
2021,
pp.129-153)
-
995
-
뫼스바우어 분광 기술을 이용한 문화재 연구
-
김철성;
국민대학교 물리학과;
(한국자기학회 2015년도 자성 및 자성재료 국제학술대회,
v.2015,
2015,
pp.35-35)
-
996
-
독일 산업.기술문화재 퀴퍼제분소(Kueppersmuehle) 재생계획 사례 연구
-
김홍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한국가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25,
2014,
pp.61-71)
-
997
-
사찰에 조성된 조립 사질 토양이 석조 문화재의 훼손에 끼치는 영향
-
도진영;
경주대 문화재학부;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19회 발표논문집,
v.2004,
2004,
pp.71-77)
-
998
-
저자 초대-'한국의 금속공예' 펴낸 이호관 문화재전문위원
-
김지원;
대한출판문화협회;
(출판저널 = The Korean publishing journal,
v.223,
1997,
pp.8-9)
-
999.
- 문화재 보존정책에 따른 부여군 도시공간구조 변화 연구
- 최희균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국내석사,
137, 2023
-
1000
-
建造物 有形文化財 保存에 관하여
-
윤장섭;
문화재위원회;
(문화재,
v.0,
1985,
pp.1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