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783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백제 사비기 장경병(長頸甁)의 등장 배경과 용도
-
우진영;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박사과정;
(백제문화,
v.0,
2023,
pp.21-47)
-
992
-
예산지역의 백제부흥운동
-
김수태;
충남대학교;
(백제문화,
v.0,
2018,
pp.167-188)
-
993
-
The Satial Structure of the Later Baekje Royal Capital in Jeonju as Seen through Maps and Archaeological Remains
-
Lee, Kyung-Chan;
;
(전북학연구 = The journal of jeonbuk studies,
v.13,
2024,
pp.103-140)
-
994
-
광합성 미생물을 이용한 고온발효액비 시스템 - 백제양돈단지
-
대한양돈협회;
;
(양돈 = Korea swine journal,
v.25,
2003,
pp.121-125)
-
995
-
5~6세기 묘제의 연속과 단절로 본 백제 서남부지역의 정치적 동향
-
우재병;
충남대학교;
(선사와 고대,
v.0,
2014,
pp.31-53)
-
996
-
백제 초기 왕계에 대한 이해 - 고이왕과 근초고왕을 중심으로 -
-
오택현;
동국대학교;
(백제학보,
v.0,
2022,
pp.63-85)
-
997
-
용인 보라산 백제고분군(Ⅲ) 발굴조사 개보
-
심선미;
한국문화유산연구원;
(고조선단군학,
v.51,
2023,
pp.225-242)
-
998
-
백제 무왕대 6좌평제의 운영과 그 의미
-
전우식;
;
(한국학논총,
v.34,
2010,
pp.169-209)
-
999
-
주류성의 방어체제와 백제부흥군의 구성
-
김영관;
충북대학교;
(백제문화,
v.0,
2025,
pp.5-34)
-
1000
-
2002년 학술회의 : 백제문화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 고대 동아시아 속의 백제문화
-
이기동;
동국대학교;
(백제문화,
v.0,
2002,
pp.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