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143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일제 강점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경제윤리로서의 자조(ᭉ自助)
-
이병성;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사회윤리,
v.0,
2019,
pp.83-116)
-
992
-
초기 서양 선교사들의 계급적 태도와 한국 기독교의 장로교화
-
정근하;
루터대학교;
(재외한인연구,
v.0,
2022,
pp.73-102)
-
993
-
개화기 선교사들의 기독교 교육이 근대 교육⋅문화에 기여한 교육적 의의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1884-1941)-
-
노영숙;
;
(기독교교육 논총,
v.0,
2013,
pp.349-388)
-
994
-
남장로교 선교사 존 크레인(John C. Crane)의 유산: 전도자·교육자·신학자
-
이재근;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한국기독교와 역사,
v.0,
2016,
pp.121-156)
-
995
-
터키 거주 한국 선교사 자녀들의 모국어 숙달도에 관여하는 변인 연구
-
최정희;
김정남;
김성운;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고신대학교;
(선교신학,
v.34,
2013,
pp.363-397)
-
996
-
선교사에서 외교관으로: 알렌(Horace N. Allen, 1858~1932)의 삶과 한국
-
이영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역사민속학,
v.0,
2020,
pp.241-271)
-
997
-
1910년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의 역사적 배경과 그 직접적 영향
-
홍기영;
나사렛대학교;
(선교신학,
v.24,
2010,
pp.11-38)
-
998
-
초기 개신교선교사들의 한국샤머니즘 이해 -선교인류학의 관점에서-
-
조흥윤;
한양대학교;
(동방학지,
v.0,
2004,
pp.79-120)
-
999
-
개화기 서양 여성 선교사들이 개화기 여성의 외모에 미친 영향
-
김향숙;
계명대학교;
(복음과 선교,
v.40,
2017,
pp.49-92)
-
1000
-
Holy Saturday and Discipleship Seen through the Lens of Trauma : A Pneumatological Proposal for Reflecting on Missionaries’ Traumatic Experiences
-
Kim, JinHyok;
;
(Muslim-christian encounter : Torch trinity center for islamic studies journal,
v.17,
2024,
pp.103-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