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334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들노래에 나타난 시조형(時調形)의 노래 고찰 - '무상삼장'을 중심으로
-
金三鎭;
;
(韓國民謠學 = The Korean folk song,
v.2,
1994,
pp.51-84)
-
992
-
Study on the Sijo in Dongyangmungo Edition of Choonhyangjeon
-
Kim, Joon;
;
(인문사회 21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11,
2020,
pp.163-174)
-
993
-
Historical Significance of Gale’s Unpublished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Sijo(時調)
-
Kang, Hye-jung;
;
(韓國古典硏究 = 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v.58,
2022,
pp.35-62)
-
994
-
[소개글]〈부산시조시인협회〉의 현주소
-
전일희;
;
(시조시학 = Poetics & Sijo,
v.43,
2012,
pp.196-197)
-
995
-
[부산여류시조문학 작품] 숲, 고요 속에서
-
이말라;
;
(시조시학 = Poetics & Sijo,
v.24,
2007,
pp.122-122)
-
996.
- 산강 시조의 제유적 세계인식과 낙원사상 연구
- 김락기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국내석사,
ii, 68 p., 2017
-
997
-
Sim Hoon’s Perception of Sijo and His World of Works - Focusing on Changes in the form of Sijo and the World of the Work
-
Kim, Gwang-jo;
;
(심훈학보 = Journal of shimhoon,
v.3,
2024,
pp.7-36)
-
998
-
김양근의 시조한역에 대하여
-
김명순;
;
(문학과 언어 =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11,
1990,
pp.159-186)
-
999
-
시조에 나타난 관용화 양상 考 - 초장을 중심으로
-
변승구;
목원대학교;
(어문연구,
v.105,
2020,
pp.93-118)
-
1000.
- 사설시조 구조의 이기론적 연구
- 정형기
-
全北大學校, 국내석사,
129장,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