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13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시조 의미구조의 경험 교육 연구
- 송지언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 213 p., 2012
-
992.
- 조선후기 農歌類 詩歌의 전개 양상과 의미 지향
- 신성환
-
高麗大學校, 국내박사,
209 p., 2016
-
993
-
김억(金億)의 여성 한시 번역과 번안시조(飜案時調) 창작의 의의
-
남정희;
성균관대학교;
(민족문학사연구,
v.0,
2014,
pp.65-94)
-
994
-
남명 조식의 장르 인식과 문학사상 : 장르비평의 이론과 관련하여
-
송희복;
진주교육대학교;
(동악어문학,
v.0,
2021,
pp.125-161)
-
995.
- 이영도 시조의 이미지 연구
- 배경희
-
경기대학교 한류문화대학원, 국내석사,
ⅳ, 108 p., 2021
-
996.
- 夢遊錄小說 奈城誌에 關한 硏究
- 조석헌
-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국내석사,
i, 54p., 1988
-
997.
- 이황의 한시를 통한 가치 교육 연구 : 대인적 가치를 중심으로
- 김세희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석사,
viii, 120 p, 2015
-
998.
- 韓·中 蘭草詩의 象徵意味 比較 硏究
- 설서문
-
中央大學校 大學院, 국내석사,
71 p., 2013
-
999
-
고전시가에 나타난 ‘비’의 실상과 그 의미 - 시조를 중심으로
-
신윤경;
경민대학;
(韓國古典硏究,
v.0,
2010,
pp.117-143)
-
1000
-
정전과 검열Ⅰ -시조 시인과 작품을 중심으로-
-
강영미;
고려대학교;
(우리문학연구,
v.0,
2012,
pp.161-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