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775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로마 교황청의 평화 중개외교 연구 : 한반도에서의 적용 가능성
- 김훈일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ⅴ,198 p., 2021
-
992
-
문화예술행사 사례 분석을 통해 본 한-중동 문화외교 추이
-
김은지;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중동연구소;
(한국이슬람학회논총,
v.31,
2021,
pp.91-114)
-
993
-
러시아의 外交政策 基調와 東北亞?韓半島
-
기연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슬라브硏究,
v.18,
2002,
pp.1-41)
-
994
-
캄보디아 훈센의 외교 전략과 전망
-
이윤범;
;
(동남아연구,
v.21,
2012,
pp.99-134)
-
995
-
태권도를 통한 스포츠 외교와 국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
-
이성문;
김영환;
김재형;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19,
2011,
pp.75-92)
-
996
-
고려시대 외교문서의 양상과 수사학
-
송병우;
;
(동양한문학연구,
v.30,
2010,
pp.157-177)
-
997
-
일본의 대미 공공외교의 중층구조: 하와이주(州) 사례를 중심으로
-
박명희;
국회입법조사처;
(일본연구논총,
v.0,
2022,
pp.5-32)
-
998
-
686년 신라 대당 외교의 내용과 목적
-
안주홍;
경북대학교;
(대구사학,
v.146,
2022,
pp.127-159)
-
999
-
Romania’s National Security through Alliance Diplomacy
-
Kwak, Dong Hun;
;
(동유럽발칸연구 =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v.46,
2022,
pp.155-177)
-
1000.
- 百濟 蓋鹵王代 執權勢力의 변화와 王族外交
- 이지오
-
충북대학교, 국내석사,
v,76 p.,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