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569건 중 1,000건 출력
, 100/100 페이지
-
991
-
한국어 구어 문법의 정립 - 구어와 문어의 통합 문법을 지향하며 -
-
목정수;
;
(우리말연구,
v.,
2011,
pp.57-98)
-
992
-
국어의 형태 음운 현상과 제약
-
김옥영;
;
(우리말연구,
v.,
2008,
pp.59-82)
-
993
-
언어 수행 수준과 읽기 상관관계 연구
-
서종훈;
;
(우리말연구,
v.,
2010,
pp.209-244)
-
994
-
‘괜찮다’의 화용적 기능과 특징
-
허상희;
;
(우리말연구,
v.,
2007,
pp.261-285)
-
995
-
『諺解胎産集要』와 『東醫寶鑑』의 원문 대조 연구(1)
-
최미현;
;
(우리말연구,
v.,
2009,
pp.283-322)
-
996
-
지역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 ― 1930년대 표준어 제정을 중심으로 ―
-
차윤정;
;
(우리말연구,
v.,
2009,
pp.387-412)
-
997
-
텍스트언어학의 현황과 전망-텍스트기술의 기본차원들-
-
이성만;
;
(우리말연구,
v.,
2007,
pp.3-50)
-
998
-
형태론의 체계와 문법 용어 사용의 문제
-
최규수;
;
(우리말연구,
v.,
2006,
pp.143-176)
-
999
-
인지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따른 합성어의 의미 변화 연구
-
이양혜;
;
(우리말연구,
v.,
2005,
pp.123-149)
-
1000
-
‘표준 문법’으로서의 ‘학교 문법’ 정립을 위하여
-
박정규;
;
(우리말연구,
v.,
2013,
pp.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