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1건 중 171건 출력
, 11/18 페이지
-
101
-
푸틴 집권3기 러시아의 대외정책 -주요 지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강봉구;
한양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v.20,
2012,
pp.129-152)
-
102
-
한국의 대 중앙아시아 공공외교: 필요성, 주체와 대상 및 활용 자산
-
강봉구;
한양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v.20,
2013,
pp.271-292)
-
103
-
‘튤립혁명’ 이후 키르기스스탄 재민주화의 한계
-
강봉구;
한양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v.17,
2009,
pp.283-304)
-
104
-
우즈베키스탄 ‘마할라(mahalla)’ 제도의 개혁과 성격 변화
-
강봉구;
한양대학교;
(대한정치학회보,
v.16,
2008,
pp.151-175)
-
105
-
우크라이나 위기와 미국-러시아 관계: 대외정체성 대립의 장기화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학보,
v.30,
2015,
pp.1-42)
-
106
-
러시아의 포스트콜로니얼 정체성: 유럽중심적 세계 속의 서발턴 제국
-
강봉구;
한양대학교;
(중소연구,
v.42,
2018,
pp.425-433)
-
107
-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균열과 러시아의 주권적 국제주의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硏究,
v.35,
2019,
pp.1-33)
-
108
-
지정학적 중간국 우즈베키스탄의 대외전략: ‘전략적 헤징’의 시각
-
강봉구;
한양대학교;
(러시아연구,
v.31,
2021,
pp.1-45)
-
109
-
강대국 으로의 복귀?: 푸틴 시대의 대외정책 (2000~2014)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硏究,
v.30,
2014,
pp.1-57)
-
110
-
불신을 넘어 동반자로?: 러시아와 이란 간 전략적 협력의 동인과 전망
-
강봉구;
한양대학교;
(슬라브학보,
v.31,
2016,
pp.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