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4건 중 134건 출력
, 11/14 페이지
-
101
-
歷史的 人物에 대한 記憶과 圖像― 集玉齋 소장 서적의 版畫揷圖를 중심으로
-
고연희;
이화여대;
(대동문화연구,
v.0,
2017,
pp.389-420)
-
102
-
그림을 만지다― 觸覺을 통한 조선시대 그림 감상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23,
pp.43-70)
-
103
-
申緯의 감각과 申命衍의 色彩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한국한문학연구,
v.0,
2019,
pp.147-182)
-
104
-
19세기 금강산도의 일면 - 개인소장 ‘금강산도 10폭병풍’ 고찰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온지논총,
v.0,
2019,
pp.303-338)
-
105
-
繪畵를 통한 古典文學 학습, 그 효과와 의미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고전문학연구,
v.0,
2018,
pp.99-127)
-
106
-
조선시대 모사(摹寫)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동양예술,
v.0,
2019,
pp.37-66)
-
107
-
문학과 회화가 공유했던, 개의 의미-‘鷄犬’, ‘金鈴犬’, ‘梧桐吠月’을 중심으로-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v.55,
2018,
pp.5-31)
-
108
-
조선후기 地圖와 繪畫로 찾아가 본 道峯山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한국고지도연구,
v.9,
2017,
pp.67-86)
-
109
-
19세기 ‘地球’와 ‘世界’에 대한 시각적 인식- 集玉齋 수입서적 地球說略을 중심으로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한국고지도연구,
v.11,
2019,
pp.135-154)
-
110
-
詩軸을 爲한 ⟨夢遊桃源圖⟩
-
고연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
v.0,
2021,
pp.3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