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812건 중 1,000건 출력
, 11/100 페이지
-
101
-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으로 본 신라 금공예의 수용 과정
-
이송란;
덕성여자대학교;
(고문화,
v.0,
2015,
pp.59-87)
-
102
-
Study on Design Management Strategy of Industrial Craft and Utilization of Business Achievement Index
-
김종선;
;
(디자인융복합연구 = Design convergence study,
v.12,
2013,
pp.161-174)
-
103
-
Developing ‘New Hanbok’ Performance Costumes Based on Najeon and Hanji Craft Techniques
-
Min, So Hee;
Suh, Sungeun;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22,
2022,
pp.103-120)
-
104
-
미술공예운동과 모던 및 포스트모던디자인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김동하;
;
(기초조형학연구 : 한국기초조형학회 연구논문집,
v.6,
2005,
pp.133-142)
-
105
-
크리스마스 구유: 크라쿠프의 ‘그리스도 성탄화’(szopka) 전통과 공예
-
사만타 코발스카(;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14,
2019,
pp.163-168)
-
106
-
軍威 麟角寺 출토 佛敎 金屬工藝品의 性格과 意義
-
최응천;
동국대학교;
(선사와 고대,
v.0,
2010,
pp.71-109)
-
107
-
예술과 사회변동의 상관성 연구 : 공예의 근대적 정체성과 사회적 트라우마
-
박남희;
;
(한국공예논총 = The Korea society of craft,
v.11,
2008,
pp.205-219)
-
108
-
근대 전환기 한국 ‘工藝(공예)’ 용어의 쓰임과 의미 변화에 대한 고찰
-
노유니아;
서울대학교;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54,
2021,
pp.192-203)
-
109.
- 박물관에서의 콘텐츠 소통을 위한 도자공예 용어의 제안과 교육효과 연구
- 김현아
-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viii, 130 p., 2014
-
110
-
19세기 후반 영국의 일본 공예 인식과 수용-크리스토퍼 드레서의 일본 여행과 미적 취향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
송지호;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인문과학연구,
v.0,
2022,
pp.283-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