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3건 중 223건 출력
, 11/23 페이지
-
101
-
交易品으로서 顔料의 社會經濟的 指標 - 中國 先秦時代를 중심으로 -
-
김병모;
동국대학교;
(동국사학,
v.0,
2019,
pp.5-39)
-
102
-
춘추전국시대 안료 기반과 안료 산출지
-
김병모;
동국대학교;
(고조선단군학,
v.26,
2012,
pp.5-42)
-
103
-
중국 초기 청동 용기의 쓰임과 장식문양의 성격 -이리두문화 청동기를 중심으로-
-
김병모;
동국대학교;
(고조선단군학,
v.27,
2012,
pp.51-86)
-
104
-
중국 신석기시대 도기의 채색 표현법과 안료 수급의 관계 -대문구 유적과 유만 유적의 채색 도기를 중심으로-
-
김병모;
동국대학교;
(고조선단군학,
v.24,
2011,
pp.5-46)
-
105
-
魏晉시대 甘肅지역 안료와 회화 표현법의 分化에 관한 연구
-
김병모;
동국대학교;
(동방학,
v.0,
2016,
pp.283-321)
-
106
-
東漢時代 회화 표현법의 分化에 관한 연구 - 墓室 壁畵 分析을 中心으로 -
-
김병모;
동국대학교;
(동방학,
v.0,
2015,
pp.321-369)
-
107
-
夏代의 안료와 채색문화 -안료의 사용과 채색문화기반의 변화원인을 중심으로-
-
김병모;
동국대학교;
(고조선단군학,
v.25,
2011,
pp.35-62)
-
108
-
Financial Constraints and Corporate Liquidity Management
-
김병모;
단국대학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13,
2011,
pp.17-25)
-
109
-
중국 신석기시대 채도(彩陶)의 장식 개념과 목적
-
김병모;
단국대학교;
(선사와 고대,
v.0,
2010,
pp.107-129)
-
110
-
조선시대 궁중 편액의 체제와 제작법-각자와 단청을 중심으로-
-
김병모;
동국대학교;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v.1,
2012,
pp.161-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