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5건 중 585건 출력
, 11/59 페이지
-
101
-
大訥 盧相益의 『大韓亡國史列傳』 硏究 - 朴殷植의 『韓國痛史』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
이은영;
성균관대학교;
(漢文學報,
v.41,
2019,
pp.27-58)
-
102
-
서양인들이 관찰한 조선의 모습들(제3회): 청일전쟁 발발 직전으로부터 조선의 망국까지의 시기
-
김학준;
동아일보사;
(한국정치연구,
v.18,
2009,
pp.227-294)
-
103
-
大訥 盧相益의 「大韓亡國史列傳」 硏究 -「騎驢隨筆」․「念齋野錄」과의 비교를 통해-
-
이은영;
성균관대학교;
(漢文學報,
v.38,
2018,
pp.55-90)
-
104
-
일본의 전쟁 내러티브와 국가정체성의 재생성 -영화 ‘나는 조개가 되고 싶다’, ‘남자들의 야마토’, ‘망국의 이지스’를 중심으로-
-
윤석상;
;
(국제지역연구,
v.17,
2013,
pp.215-232)
-
105.
- 深齋 曺兢燮의 成學過程과 學的 實踐 硏究 : 『深齋日記』를 토대로 한 생애사적 고찰
- 전송희
-
부산대학교 대학원, 국내박사,
iv, 246 p., 2024
-
106
-
근대 동아시아의 文體・身體・政體, 趙素昻의 『동유약초(東遊略抄)』의 경우 - 일본 유학, 망국, 중국 망명의 지적・문체적 여정
-
황호덕;
성균관대학교;
(서강인문논총,
v.0,
2015,
pp.385-437)
-
107.
- A Study On Li Yu's Haofang-Ci
- 河弦廷
-
이화여자대학교, 국내석사,
iv, 73 p., 2000
-
108
-
망국민의 恨辭,「桑海淚談」의 의미와 그 시공간적 맥락 연구 - 요코하마와 칸톤에서의 베트남인 해외혁명활동(1906-1915)을 중심으로 -
-
노영순;
한국해양대학교;
(전북사학,
v.0,
2011,
pp.391-417)
-
109
-
정조 38선, 퇴폐, 그리고 문학사 —풍기문란과 냉전 프레임(frame)을 중심으로
-
권명아;
;
(여성문학연구,
v.22,
2009,
pp.213-250)
-
110.
- 일제 강점기 재중 한인의 항일 선전 활동 : 강연 및 연설을 중심으로
- Lu, Yejia
-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내석사,
iv, 52장,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