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246건 중 1,000건 출력
, 11/100 페이지
-
101
-
The cultural convergence and narrative-oriented tendency of 〈Okrumong〉
-
김용기;
;
(다문화콘텐츠연구 =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v.15,
2013,
pp.279-304)
-
102
-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ying Po(袍)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Based on Cultural Convergence
-
Kim, Hye Lim;
Kim, Hea Yeon;
;
(한국패션디자인 학회지 =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22,
2022,
pp.81-101)
-
103.
- 융합교육을 활용한 박물관·미술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이예경
-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국내석사,
vi, 87 p., 2014
-
104
-
4년제 대학에서 문화예술경영 NCS 교육과정도입과 융합의 필요성
-
최정일;
류해춘;
성결대학교 경영학부;
성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2017,
pp.205-212)
-
105.
- 한국 STEAM(융합인재교육) 모델의 베트남 문화예술교육 적용방안
- Hoang, Huong Lien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국내석사,
v, 86 p., 2019
-
106
-
홍성욱 교수의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 융합시대의 과학문화』
-
김종영;
;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9,
2009,
pp.119-124)
-
107
-
전통 고도(古都) 교토(京都)의 문화기술 융합 콘텐츠 연구 - 비와코(琵琶湖) 운하를 중심으로 -
-
박은수;
김지은;
한양대학교 공학기술연구소;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예술포럼 = Korea science & art forum,
v.16,
2014,
pp.157)
-
108
-
조선후기 풍속화를 통해본 한국전통예술문화의 융합적 특성
-
강옥희;
성균관대학교;
(동양예술,
v.0,
2018,
pp.5-33)
-
109
-
探讨建筑设计与我国地域文化的融合
-
付光宇;
;
(城市建筑与发展,
v.3,
2022,
pp.190-192)
-
110
-
Case Study of Non-face-to-face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Focusing on the Weekend Art Campus Program “Another i”
-
Kwon, Hyunwoo;
;
(문화와 융합 = Culture and convergence,
v.44,
2022,
pp.229-246)